본문 바로가기
ARTS

장욱진 화백: 한국 미술의 거장, 예술의 향연

by MJzzang 2024. 2. 6.
반응형

 


대한민국 미술계를 빛낸 거장 중 한 명인 장욱진 작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장욱진은 그의 독특한 작품 세계와 꾸준한 예술적 탐험으로 한국 미술사에 길이 남은 예술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생애와 첫 발걸음

장욱진은 1918년 1월 8일,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태어났습니다. 4형제 가운데 차남으로, 이미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그림 솜씨를 보여주었습니다. 8세 때에는 전조선학생미술전람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하며 예술의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이어 1939년에는 도쿄 제국미술학교에 진학하여 김환기, 유영국, 이중섭과 같은 미술 거장들과 함께 학문을 쌓아갔습니다.
 

장욱진의 예술 여정에 대하여 

전쟁의 시련과 예술의 부활
하지만 장욱진의 예술적인 여정은 일제 강점기의 어려움에 부딪혔습니다. 1944년,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어 일하던 중, 해방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리고 박물관 직원이자 미술교사로서 예술 활동을 재개하는데, 이것이 그의 예술적 부활의 시작이었습니다.

덕소와 수안보, 예술적 탐험의 시대
1948년 이후, 장욱진은 신사실파전, 2·9전 등에 참가하며 국내외에서 작품을 전시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1963년, 예술적 탐험의 여정을 시작하는데, 이는 그의 삶에서도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이때부터 덕소에서의 시골 생활이 시작되었는데, 그는 덕소에서 주변의 번화함을 벗어나 조용한 마을에서 예술적 열정을 다채롭게 펼쳤습니다.
 
작은 것들의 아름다움과 동심의 세계
장욱진의 작품에서 가장 돋보이는 특징은 작은 것들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입니다. 나무, 가로수, 가족, 동물 등 일상의 소소한 풍경과 존재들이 작품 속에서 아름다운 우주로 탄생합니다. 그의 독특한 화폭과 색채, 그리고 평면적인 처리는 동심의 세계를 담아내어 관객들에게 감동과 여운을 전합니다.
 
불교적 세계관과 철학적 사유
장욱진은 불교적 세계관과 철학적 사유를 자주 작품에 반영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종종 동양적 정신과 형태를 일체화시켜 한국적 모더니즘을 창조했다고 평가받습니다. 특히 작가의 불교적 영감을 담은 회화들은 그의 예술적 탐험의 흔적이 고스란히 녹아있는데, 그 중 '진진묘'라 불리는 아내의 초상은 작가의 불교적 사유와 깊은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마지막 작품과 뒤이어 오는 평가
장욱진의 예술적 탐험이 이어진 지 60년이 넘은 후, 작가는 그의 생애 마지막 작품인 '까치와 마을'을 선보였습니다. 이 작품은 그의 작품세계를 한껏 담아내어, 그의 삶과 예술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의 작품은 그의 본질과 예술적 업적을 되짚어보며, 그의 후손들에게 큰 영감을 전하고 있습니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에서의 회고전
현재,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에서는 그의 60년에 걸친 미술 활동을 회고하는 대규모 전시가 진행 중입니다. 이 전시에서는 그의 대표작들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장욱진에 대한 연구와 아카이브 자료가 풍부하게 전시되어 있습니다. 작가의 동선에 따라 배치된 글과 자료들은 그의 예술적 탐험과 성장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전시의 중요성과 관람자들에게 주는 메시지
이번 장욱진 회고전은 그의 작품뿐만 아니라, 작가의 삶과 예술철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그의 예술적 탐험과 창작의 과정을 살펴보며, 한국 미술의 중요한 챕터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더불어, 장욱진이 추구했던 주제 의식과 조형 의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관람자들에게 그의 예술적 세계를 더 깊게 이해하게 해줍니다. 전시를 통해 장욱진의 업적을 재평가하고, 그의 예술적 유산을 새롭게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장욱진은 그의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작은 것들의 아름다움과 동심의 소중함을 일깨워주었습니다. 그의 예술은 미술사에 길이 남아 그를 추모하고 경의를 표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예술 세계에 한 걸음 더 다가가보는 것은 우리에게 큰 선물이 될 것입니다. 함께 그의 아름다운 예술 향연을 만끽하며, 그의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